| 1 |
O.T / 시험안내 & 수업안내 & 기출해설 |
|
62분 |
| 2 |
역사논술 일반(역사적 사고) / 선사의 역사 (p. 1~4) |
|
80분 |
| 3 |
고조선의 역사 / 사서 편찬의도 (p. 3) |
|
54분 |
| 4 |
중국의 역사왜곡 (동북공정) (p. 61 ~ 63) |
|
95분 |
| 5 |
고대의 정치 (국가발전단계, 삼국의 기틀 마련과 전성기) |
|
63분 |
| 6 |
가야의 역사 (임나일본부설), 고구려의 대외항쟁, 신라의 삼국통일 |
|
93분 |
| 7 |
통일신라의 정치 (중대 안정과 하대 혼란의 원인, 골품제의 폐쇄성) |
|
71분 |
| 8 |
발해사 (고구려계승, 황제국 근거), 남북국 시대 용어사용의미 |
|
77분 |
| 9 |
고려의 정치 Ⅰ (건국의 의미, 과거제의 의미) |
|
74분 |
| 10 |
고려의 정치 Ⅱ (문벌귀조가회 ~ 무신정권, 공민왕의 개혁) |
|
82분 |
| 11 |
고려의 정치3, 고려의 사회 |
|
64분 |
| 12 |
고려의 문화, 조선의 정치1 |
|
78분 |
| 13 |
조선 초기 왕들의 정책 |
|
59분 |
| 14 |
붕당정치 |
|
76분 |
| 15 |
조선 후기 사회, 경제적 변화 |
|
65분 |
| 16 |
조선 후기 사상의 변화와 민란의 발생 |
|
77분 |
| 17 |
18세기 이후 대내외적 정책 |
|
67분 |
| 18 |
강화도 조약 |
|
83분 |
| 19 |
동학 농민운동 |
|
80분 |
| 20 |
일본이 한반도에 철도를 부살한 목적 |
|
69분 |
| 21 |
일제강점기 |
|
52분 |
| 22 |
거국적 민족운동 |
|
95분 |
| 23 |
12회차 7번 |
|
72분 |
| 24 |
500자 글 쓰기- 논제 단독 제시형 글 쓰기 기본 방향 |
|
79분 |
| 25 |
13주차 |
|
77분 |
| 26 |
6.25전쟁 이전 국내외 정세 |
|
84분 |
| 27 |
14주차 |
|
57분 |
| 28 |
정권별 통일정책 |
|
61분 |
| 29 |
15주차-북한사 |
|
50분 |
| 30 |
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 |
|
60분 |
| 31 |
북한사 2 |
|
52분 |
| 32 |
남북경제교류 |
|
37분 |
| 33 |
논술정리 |
|
23분 |
| 34 |
17주차 북한의 대남도발(1) |
|
56분 |
| 35 |
북한의 대남도발 (2) |
|
42분 |
| 36 |
논술정리 |
|
8분 |
| 37 |
북한관련 주제-북핵문제 |
|
72분 |
| 38 |
북핵문제(2) |
|
57분 |
| 39 |
국군의 명맥과 전통 |
|
39분 |
| 40 |
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논의 |
|
20분 |
| 41 |
국가보안법 |
|
20분 |
| 42 |
국군의 해외 파병 |
|
40분 |
| 43 |
대북관 안보의식 |
|
49분 |
| 44 |
동아시아의 역사왜곡 |
|
16분 |
| 45 |
논술정리 |
|
55분 |
| 46 |
1~6주차 내용정리 (p.1 ~) |
|
83분 |
| 47 |
7~12주차 내용정리 (p.8 ~) |
|
81분 |
| 48 |
14 ~ 16주차 내용정리 (p.1 ~) |
|
80분 |
| 49 |
17~20주차 내용정리 (p.8 ~) |
|
73분 |